울산대학교 | 의공학전공
본문바로가기
ender

커뮤니티
공지사항

SNS Share

공지사항

[공학교육혁신센터] 2023 창의융합 캡스톤디자인팀 모집 안내 (추가 모집)
작성자 김** 작성일 2023-05-10 조회수 279


 

1

 

목 적

공학교육혁신을 통한 창의력 및 시스템 통합설계 능력을 갖춘 공학도 양성

창의적 종합설계 성과확산 및 우수작 포상을 통한 공과대생의 학습의욕 및 자긍심 고취

지속적인 작품 성장을 위하여 다방면으로 학생들의 캡스톤디자인 활동을 지원·관리하여 작품 사업화 기회 창출 마련 및 취·창업 역량강화 도모

 

2

 

개 요

운 영: 20235~ 202312

주 관: 공학교육혁신센터

접수기간: 202353() ~ 상시모집

신청방법: (opf2310@ulsan.ac.kr)“2023 캡스톤디자인 팀 신청서

이메일 제출1호 서식 신청서참조 (신청자 서명필수)

선정발표: <1> 202359(), <2> 2023523()

선정 대상자 개별 연락
지원팀 수: (1) 다학제융합형: 7개 팀 (2) 산학협력형: 9개 팀

팀 구 성

- 전체 전공을 대상으로 모집, 캡스톤디자인 교과목 기반(혹은 개인 팀도 가능)으로 하되 수강이 끝나거나 현재 수강하지 않더라도 구성 가능, 총 인원 4인 이상으로 구성된 팀 단위로 신청함을 원칙으로 함.

공학계열 학생 최소 1인 포함

과제 유형: (1) 다학제융합형 (2) 산학협력형 (3)사회기여형(선택)

중간발표: 20231016(), (전국 경진대회 대비) 일정은 변경될 수 있음

- 작품중간발표 이후에도 2023년도 12월 말까지는 작품 보안 및 수정을 위해 선정된 팀의 재료비 지원은 계속 진행 됨.

작품최종 보고서 제출기간: 20231231(지원금 조기 소진 시 그 시점에 제출 가능)

선정된 팀에 대한 지원

- 캡스톤디자인 과제의 수행에 필요한 공간, 재료비, 회의비 지원

다학제융합형: 재료비 35만원, 회의비 15만원

산학협력형: 재료비 55만원, 회의비 15만원

캡스톤디자인 과제 관련한 경진대회 본선 진출 시 필요한 출장비 지원

(교통비, 숙박비 팀별 최대 2명까지 지원 / 식비는 따로 지원하지 않음)

 

선정된 팀의 의무사항

- 사전교육 필수 참석: 선정발표 후 1주일 이내 실시(예산사용 방법 등 안내)

- 지원 증빙자료 작성 제출(결과보고서, 지원금정산서, 회의비 청구서 등)

- 센터에서 진행하는 캡스톤 관련 교육, 사업화 교육, 창업 교육 등 1회 이상 필수 참가

- 지원 받은 팀은 중간 제출기간 및 최종 제출기간에 반드시 작품을 제출하여야하며, 중간점검 평가 후 우수 작품에 한해 전국 창의적 종합설계경진대회(11) 출전

 

지원금 사용방법

- 재료비: 2호 서식 지원금 정산서작성 후 센터로 제출. 업체에서 물품을 구매 시 센터법인카드, 현금영수증(학교), 또는 세금계산서로 구매하고 첨부서류로 거래명세서, 공급업체 사업자 등록증 사본, 공급업체 통장 사본을 구비하여 제출

세금계산서 공급받는 자 작성방법

사업자등록번호

610-82-00050

법인명

(단체명)

울산대학교

대표자

오연천

사업장 주소

울산광역시 남구 대학로 93

- 전자세금계산서 받을 이메일: mintyk@ulsan.ac.kr

- 회의비: 회의 종료 후 3호 서식 회의비 청구서작성(센터 법인카드 사용 영수증 첨부) 하여 센터로 제출

 

3

 

평가항목

평가항목

점 수

비 고

아이디어의 독창성 및 진보성(창의성)

20

 

과제 계획의 적절성

20

 

과제 해결방안 및 과정(내용)

20

 

작품의 활용성(기대효과)

20

 

산학협력형

20

가산점

사회기여형(선택사항)

20

가산점

120

 

 

4

 

팀 구성형태 및 과제형태 구분

구 분

팀 구성형태

내 용

필수

(1)

(중복 가능)

다학제융합형

2개 이상의 전공으로 구성된 팀

(: 기계+전기+IT, 기계+디자인, 전기+인문/사회계열 등)

캡스톤디자인 과목 수강생이 아니어도 지원 가능

타과생 최소 1인 포함

예상 결과물이 독자적인 창업으로 발전할 가능성이 있는 과제

산학협력형

학부과정에서 배운 이론 및 실기를 종합 적용하여 산업현장에서 요구할법한 주제를 바탕으로 한 과제

산업현장의 애로기술 및 사회적 문제 해결을 위한 주제를 바탕으로, 기업/기관과 연계된 과제

선택

사회기여형

사회적 약자 보호·공공서비스 사각지대 개선 등 사회 문제를 학생들의 창의적 아이디어로 해결책 제시

사회적약자 기여형(사회적 약자에 대한 기회제공과 사회통합)과 지역사회 기여형(지역사회 활성화와 공동체 복원)의 주제를 바탕으로 한 과제

과제 형태 별 팀 종류

팀 종류

과제 형태

단일팀

다학제융합형

(2개 이상의 전공)

산학협력형

(기업/기관과 연계된 과제)

중복팀

다학제융합형

+사회기여형

다학제융합형

+산학협력형

산학협력형

+사회기여형

종합팀

다학제융합형+산학협력형+사회기여형

다학제융합형 지원 : - , -

산학협력형 지원 : - , - , - ,